본문 바로가기

연애/유혹술 이론&기술

[유혹자]초현실적인 존재 스타(대중유혹자 스타의 이해)

유혹의 매커니즘(비현실성)_

유혹이란 의식을 우회해 무의식을 자극함으로써 상대를 자신이 원하는 대로 움직이는 것을 말한다.

한마디로 무의식을 자극할 수 있어야 유혹에 성공할 수 있다. 이유는 간단하다. 우리 주변에는 직접적인 메세지로

사람들의 관심을 끌려는 경우가 너무 많다. 하지만 정치성을 숨김없이 드러내거나 상대를 이용하려는 사람은 결코

원하는 것을 얻어낼 수 없다. 그럴 경우에는 오히려 냉소적인 반응을 불러일으킬 뿐이다.

자신이 원하는 것을 솔직하게 내비치거나 자신의 속마음을 모두 보인 채 상대를 설득하려고 해서는

아무것도 얻을 수 없다. 사람들은 그런 사람을 귀찮게 여긴다.

이런결과를 초래하지 않으려면, 은근하게 상대의 무의식에 접근해 들어갈 수 있는 기술을 연마해야 한다.

 

인간의 무의식은 꿈을 통해 가장 잘 들어난다. 꿈은 신화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꿈에서 무엇인가를 겪고나면

잠에서 깨어난 뒤에도 꿈속에서는 현실과 비현실이 혼합되어 나타난다. 꿈속에서도 현실에서 만나는 사람들은

만나고 현실과 비슷한 상황을 겪게 되지만, 대개 무엇인가 앞뒤가 안 맞고 뒤죽박죽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꿈속에서 일어나는 모든 일이 현실과 똑같다면, 꿈은 우리에게 아무런 힘도 행사하지 못할 것이며, 만일 모든 것이

비현실이라면 우리가 꿈에서 맛보는 기쁨이나 공포도 훨씬 덜할 것이다. 꿈은 현실을 극단적인 환상 속으로

몰아넣는다. 우리가 꿈에 매료되는 이유는 현실과 비현실이 섞여 나타나는 현상 때문이다.

꿈은 낯설면서도 또 낯익은 느낌을 준다. 이런 이유로 프로이트는 꿈을 가리켜 '기괴하다'고 표현했다.


우리는 때로 현실세계에서도 기괴한 현상을 체험한다. 예를 들어, 기시감도 그런 경우이다.

기시감은 과거의 경험을 되살려주는 이상한 사건을 현실에서 체험하는 것을 말한다.

사람들도 그와 비슷한 효과를 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케네디와 앤디 워홀 같은 사람들의 말과 몸짓에서는 현실과 비현실이 혼합되어 나타난다. 그들은 마치

꿈속의 인물처럼 느껴진다. 이들은 분명히 진지함과 장난기와 관능적 매력을 지닌 현실 속의 인물이지만, 동시에 뭔가

초연한 듯, 현실을 넘어선 듯한 분위기를 발산함으로써 영화 속에서나 볼 수 있는 초현실적인 인상을 심어준다.

 

스타의 특징_
이런 유형의 사람들은 사람들의 무의식을 자극함으로써 유혹의 힘을 발휘한다. 그런 사람들은 공적으로나

사적으로나 항상 사람들을 유혹한다. 사람들은 그들의 몸과 마음을 소유하고 싶어한다. 하지만 꿈이나 영화에서 본

사람을 현실에서 소유할 수는 없다. 영화 속의 스타든 정치 스타든 마찬가지이다. 현실에서는 그들을 소유할 수 없다.

사람들은 소유할 수 없기 때문에 더욱더 그들에게 매료된다. 그들의 모습은 뇌리에 박힌 채 우리의 꿈과 환상 속에

등장한다. 사람들은 그들을 무의식적으로 모방한다. 심리학자 산도르 페렌치는 이를 가리켜 '내향적 투사'라고

표현했다. '내향적 투사'란 다른 사람의 속성을 자신의 것으로 받아들이는 심리적 행위를 말한다.

스타의 매력은 바로 여기에 있다. 현실과 비현실을 적절하게 혼합해 신비한 분위기를 만들어냄으로써 우리는 스타가

가진 유혹의 힘을 얻을 수 있다. 대다수의 사람들은 지겹도록 진부하다. 바꾸어 말하면 그들은 지나치게 현실에

매여 있다. 따라서 뭔가 비현실적인 듯한 모습을 보여주면 탁월한 유혹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스타는 무의식의

시계에서 나온 듯한 말과 행동, 다소 초연한듯한 태도, 이따금씩 '저 사람이 과연 어떤 사람일까?'라는

궁금증을 불러일으킬 수 있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

 

스타의 정의적 특징_
사실 스타는 오늘날의 영화가 만들어낸 창조물이다. 영화는 꿈의 세계를 만들어낸다. 영화는 꿈의 세계를 만들어낸다.

우리는 깜깜한 어둠 속에서 반쯤 졸린 듯한 상태로 영화를 관람한다. 스크린에 비친 영상이 현실감 있게 다가오고,

마치 현실인 듯한 상황이 연출된다. 하지만 스크린에 비친 세계는 반짝이는 불빛으로 구성된 이미지에 불과하다.

우리는 그것이 현실이 아니라는 사실을 잘 안다. 영화를 보고 있으면 마치 다른 사람의 꿈을 보는 듯한 느낌을

받는다. 대개 대형 스타를 만들어내는 것이 연극이 아니라 영화인 것도 이런 이유에서이다.
연극무대에서는 배우들이 실제와 똑같은 모습으로 나오기 때문에 관객 속에 파묻혀버릴 뿐만 아니라 너무

현실적으로 비친다. 하지만 영화는 다르다. 영화는 배우들의 실재 크기를 확대함으로써 현실과 동떨어진

이미지를 창조해낸다. 사람들은 스크린에 비친 배우들의 모습에 매료된다.

예를 들어 그레타 가르보의 확대된 얼굴을 보는 순간, 그녀의 인상은 사람들에게 깊이 각인된다.

스타는 이러한 점들을 잘 활용한다.

 

스타의 희생양_ 
스타가 지닌 또다른 유혹의 힘은 사람들에게 대리만족을 가져다준다는 데 있다.

기자회견을 통해 트루먼의 견해를 반박한 케네디가 대표적인 경우이다. 그는 젊다는 이유만으로 나이 든 트루먼에게

무시당하는 자신의 모습을 부각시켰다. 그는 젊은 세대와 자신을 동일시함으로써 세대간의 갈등을 불러일으켰고,

그 점을 적절히 이용해 소기의 목적을 달성했다.(당시 부모 세대에 불만을 품고 반항하는 사춘기 청소년들을 다룬

영화가 할리우드에서 유행했는데, 그와 같은 사회 분위기가 케네디에게 유리하게 작용했다.) 사람들은 전형적인

미국의 중산층을 대표했던 지미 스튜어트나 귀족적인 분위기로 상류층을 대표했던 캐리 그랜트처럼, 자기들이 속해

있는 사회계층을 대변해줄 수 있는 스타에게 끌리게 마련이다. 유혹은 항상 무의식에 호소해야 한다.

따라서 직접적인 말은 금물이다. 몸짓이나 태도를 통해 넌지시 의도를 전달할 수 있어야 한다.

요즘 사람들은 과거 어느 때의 사람들보다 불안심리가 강하다. 사람들은 정체성을 잃고 이리저리 표류한다.

그들은 자기들의 정체성을 대변해줄 수 있는 스타를 갈구한다.

그리고 그런 스타를 발견하면 즉시 그를 모방하기 시작한다. 스타는 사람들의 이런 심리를 이용한다.